안녕하세요 BoomDi 입니다.
제가 대학생인데 작년에 수업을 들으며 과제로 했던 것 중에서
"금전적 보상은 창의성에 긍정적인가?"에 대해 포스팅 해보자합니다.
학계에서는 금전적 보상이 창의성의 발현에 있어서 부정적이라는 의견들이 많은데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했을 때는 어차피 일을 하고 신기술을 개발할 때, 돈을 주면 더 잘될 것 같다는 인식에서 시작된 레포트인데요
저는 금전적 보상이 창의성에 긍정적이라는 의견에 무게를 두어 자료조사와 레포트를 작성했습니다.
HRM 이슈 : 금전적 보상은 창의성에 긍정적이다
급변하는 소비자의 취향과 역동적으로 변하고 있는 경쟁환경에 대응해 지속적으로 기업이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과거와 다른 혁신적이고 경쟁사와 차별되는 상품과 사업방식을 추구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창의성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면서 금전적 보상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 여러 논의들이 있었고 그 핵심은 금전적 보상이 과연 창의성을 증진시키느냐 혹은 저해하는가의 문제였다.
창의성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보통 한사람 혹은 사람들이 함께 일하는 소집단이 신기하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창의성이다.
금전적 보상이 창의성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의 주장은 금전적 보상이 내적 동기를 저하시킨다는 이유, 실험적,모험적 행동을 저해한다는 이유로 주장한다.
보상의 내적 동기 저해 효과는 크게 내재적 동기 가설과 주의 협소화 가설로 설명될 수 있다.
내재적 동기 감소 효과는 외재적 동기를 가진 이들에 비해 내재적 동기를 지닌 이들이 우수한 수행패턴을 보이는데, 이들에게 외적 보상이 제시되면 내재적 동기가 감소되어 수행과 창의성이 오히려 떨어지게 된다는 것이고
주의 협소화 가설은 창의성이 최대로 발휘되기 위해선 과제 이외에 다양한 환경에 주의를 넓게 기울여야 하지만, 보상이 제공되게 되면 목표 관련 자극에만 주의를 집중하게 되는 주의 협소화가 일어나 창의적인 해결을 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보상이 실험점,모험적 행동을 저해한다는 주장은 심리학자 존 콘드리의 사람들이 자신이 하는 일과 관련하여 무엇인가를 얻게 될 것이라고 생각할수록, 모험적인 일을 택하거나, 어떤 직감에 따라 행동하거나, 다양한 외부 자극에 대해 고려해 보고자 하는 행동이 감소하게 된다고 주장과 교육심리학자 알피콘의 인센티브가 실적에 연계되면서 사람들이 평가 기준에 부합하는 ‘안전하고 만만한’ 일만 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져 결과적으로는 조직 내 상상력을 갉아먹는다는 주장과
인센티브를 제공 받은 그룹이 제공 받지 않는 그룹에 비해 문제를 푸는 데 3.5분이 더 걸린 카리 둔커(Kari dunker)의 촛불실험을 근거로 뒷받침하고 있다.
금전적 보상이 창의성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의 주장은 외재적 보상이 창의적 성과에 창의성에 대한 몰입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외재적 동기만 높은 사람은 금전적 보상이 클수록 창의성이 높아지며, 성과와 연계정도가 높은 성과급은 스스로 자신과 일을 통제할 수 있다는 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내재적 동기를 올리고 결과적으로 창의성을 통한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양측의 입장을 보면 부정적이라는 주장을 하는 입장은 금전적 보상이 창의성을 오히려 저해하며 나아가 업무에 대한 흥미 또한 잃게 한다는 것이고
긍정적이라는 주장을 하는 입장은 일을 좋아하는 것은 전제로 해야 하고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돈까지 주면 더 좋고 창의성과 성과 증진에 있어서 좋지 않겠냐는 것이다.
금전적 보상 뿐만 아니라 보상이라는 대목으로 보았을 때, 보상이 내재적 동기와 창의성을 감소시킨다는 현상이 학계에서 상당히 인정되면서도, 실제로 교육장면이나 산업 현장에서는 보상제도(예를 들면 인센티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상이 내재적 동기나 창의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면, 특히 교육장면에서 보상을 사용하는 것은 치명적인 결과를 낳게 될 것이다.
하지만 학교에서는 어린이들의 선행과 뛰어난 성적에 대하여 보상을 하고 있으며, 어떤 부분에서는 보상의 중요함을 계속 강조하고 있다.
또한 많은 회사가 성과별 인센티브제도를 생산성 향상이나 조직혁신의 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걸로 미루어 보아 금전적 보상이 창의성에 대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확실한 답은 없으나 기업과 종업원 사이에는 금전적인 부분을 떼고 이야기할 수 없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종업원에게 급여란 일을 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금전적 보상은 종업원의 동기부여를 주는 것 뿐만 아니라 나아가 기업의 혁신 과정에서의 창의성에 까지 간접적으로라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한다.
결론은 금전적 보상이라는 한가지 보상에만 초점을 맞추는 게 아니라 여러 보상 또한 창의성에 긍정적이기 때문에 금전적 보상 뿐만 아니라 다양한 보상을 제공하면서 금전적 보상 또한 제공하면 조직과 종업원의 창의성을 이끌어내는데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및 출처
최광준 2012 성과주의 인사시스템이 조직구성원의 창의성과 일상적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기하 2013 스스로 일하게 하라 특집 ll pp.21-25.
2015 경제적 보상이 혁신을 촉진한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코리아
T.Amabile의 창의성 이론에 근거한 동기와 창의성간의 관계 연구(2002), 하대현
보상이 내적 동기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장재윤,구자숙)
성과평가와 보상 연계방안 연구 - 한국정책학회
- Yoon, H. J., & Choi, J. N. (working paper). Intrinsic and extrinsic rewards and creativity in the workplace:
The moderating role of reward importance.
네이버 지식백과
박영석,정수정 (2000).“금전적 보상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의 조절 효과.”
전미선,이종수 “성과급은 내재적 동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동기부여 혹은 동기구축(crowding-out) 효과와 경로 분석”
특허청-직무발명보상제도 시상식
양경수 작가님의 만화